팩토리 패턴과 추상 팩토리 패턴
팩토리패턴과 추상팩토리패턴
팩토리 패턴
먼저 책에서 말하는 팩토리 패턴은…
객체를 생성할 때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만듭니다. 어떤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만들지는 서브클래스에서 결정합니다. 팩토리 메소드를 사용하면 인스턴스 만드는 일을 서브 클래스에 맡길 수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팩토리 패턴은…
구현코드에 존재하는 객체 생성 코드를 외부로 빼내어 구현코드를 느슨하게 만들어주는 패턴이라고 생각합니다.
심플 팩토리
팩토리 패턴에도 Simple Factory 와 Factory Pattern 이 존재하는데 먼저 Simple Factory 는 말그대로 간단하게 생성부분만 담당하는 코드입니다.
예를 들어 햄버거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맥도날드에서 햄버거를 만들어낼 때 다음과 같은 코드로 만들어 내고 있었습니다.
public class Mcdonald {
public void createHamBurger() {
SusuBurger susuBurger = new SusuBurger();
susuBurger.getBread();
susuBurger.getMeat();
susuBurger.getVegitable();
susuBurger.getSauce();
}
}
맥도날드에서 구현 객체인 SusuBurger 를 사용해 하나의 클래스에 의존적입니다. 이때 이전 포스팅에서 배웠던 객체 지향에서 구현보다는 인터페이스에 맞춰서 프로그래밍 해야한다에 맞춰 변경해보겠습니다.
// 기존
SusuBurger susuBurger = new SusuBurger();
// 변경
Burger susuBurger = new SusuBurger();
햄버거라는 추상클래스를 만들어 susuBurger 가 햄버거 인터페이스에 값을 받고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인터페이스는 자바의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슈퍼클래스 즉, 하나의 큰틀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근데 여기서 문제점이 생깁니다. 제가 먹고싶은데 슈슈버거가 아닌 빅맥을 먹고 싶어졌습니다.
그러면 구현코드인 Mcdonald 의 createHamburger 함수를 수정해야 하는데 이때 OCP 를 지키지 못하게 됩니다. 이때 팩토리 패턴을 이용하면 됩니다.
public class Mcdonald {
public void createHamBurger(String name) {
BurgerFactory burgerFactory = new BurgerFactory();
Burger burger = burgerFactory.getBurger(name);
burger.getBread();
burger.getMeat();
burger.getVegitable();
burger.getSauce();
}
}
class BurgerFactory {
public Burger getBurger(String name) {
if (name.equals("빅맥")) {
return new BigMacBurger();
}
if (name.equals("슈슈버거")) {
return new SusuBurger();
}
return new BaseBurger();
}
}
class 인 팩토리를 하나 만들어서 구현코드에서는 어떤 객체가 만들어지는지 모르도록 만들었습니다.
위처럼 간단하게 Factory 를 만들어서 해결한 것이 Simple Factory 입니다.
간단한 팩토리(Simple Factory) 는 패턴이 아닌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쓰이는 관용구에 가깝다고 합니다.
함수를 이용한 팩토리 패턴
맥도날드가 미국에서 대성공으로 다른나라에 체인점을 내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각 나라마다 추가된 햄버거가 존재하는데 우리나라는 불고기버거가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계속 새로운 팩토리를 만들어서 진행을 해야할까요?
물론 그렇게 진행할 수도 있겠지만 하나의 역할만 하는 불필요한 클래스들이 많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추상 클래스를 사용해보겠습니다.
public abstract class Mcdonald {
public void createBurger(String name) {
Burger burger = orderBurger(name);
burger.getBread();
burger.getMeat();
burger.getVegitable();
burger.getSauce();
}
public abstract Burger orderBurger(String name);
}
추상 클래스를 선언했고, orderBurger 가 팩토리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불필요한 클래스를 생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public class KoreaMcdonald extends Mcdonald {
@Override
public Burger orderBurger(String name) {
if (name.equals("빅맥")) {
return new BigMacBurger();
}
if (name.equals("슈슈버거")) {
return new SusuBurger();
}
if (name.equals("불고기버거")) {
return new BulGogiBurger();
}
return new BaseBurger();
}
}
public class JapanMcdonald extends Mcdonald {
@Override
public Burger orderBurger(String name) {
if (name.equals("빅맥")) {
return new BigMacBurger();
}
if (name.equals("슈슈버거")) {
return new SusuBurger();
}
if (name.equals("스시버거")) {
return new SusiBurger();
}
return new BaseBurger();
}
}
위처럼 선언하게 되면 버거의 createBurger 는 상속받아서 만드는 방법은 고정시킬 수 있고, 각 나라마다 새로운 메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여기서 모든 나라에 공통적인 버거가 있다면 데코레이터 패턴을 이용해 간단하게 추가해 사용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팩토리 패턴을 이용한다면 객체 생성부분을 외부에 둠으로써 함수가 실행될 때까지 어떤 객체가 생성될지 모르게 됩니다. 이처럼 팩토리 패턴은 이용하면 DIP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의존성 뒤집기 원칙을 지킬 수 있게 됩니다.
추상 팩토리 패턴
책에서 말하는 추상 팩토리 패턴은…
구상 클래스에 의존하지 않고도 서로 연관되거나 의존적인 객체로 이루어진 제품군을 생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구상 클래스는 서브클래스에서 만듭니다.
제가 생각하는 추상 팩토리 패턴은…
연관된 여러개의 객체를 묶어 추상화한 패턴이라고 생각합니다.
추상 팩토리 패턴은 언제 사용할까
추상 팩토리 패턴은 연관된 객체가 여러개로 묶여 있을 때 추상화하여 구현코드에서 직접 바라보지 않도록 변경하는 것입니다.
위에서 예를 들었던 맥도날드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맥도날드에서 각 나라마다 가격이 싼 채소와 고기가 달라 나라마다 재료를 다르게 선택해야 했습니다.
public class BigMacBurger extends Burger {
Vegetable vegetable;
Meat meat;
Sauce sauce;
Bread bread;
public BigMacBurger() {
this.vegetable = new Lettuce();
this.meat = new Pig();
this.sauce = new Salsa();
this.bread = new BasicBread();
}
}
위처럼 버거에 각각의 재료들이 존재할때 햄버거는 재료들에게 의존적입니다. 특히 여러개의 인스턴스가 생성되면서 구현에 의존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추상 팩토리 패턴을 이용하면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먼저 재료 Factory 를 만듭니다.
public interface IngredientFactory {
Vegetable getVegetable();
Meat getMeat();
Sauce getSauce();
Bread getBread();
}
public class KoreaBigMacIngredientFactory {
public Vegetable getVegetable() {
return new Lettuce();
}
public Meat getMeat() {
return new Pig();
}
public Sauce getSauce() {
return new Salsa();
}
public Bread getBread() {
return new BasicBread();
}
}
팩토리를 통해 버거 구현소스에서 받아 해결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BigMacBurger extends Burger {
Vegetable vegetable;
Meat meat;
Sauce sauce;
Bread bread;
public BigMacBurger(IngredientFactory ingredientFactory) {
vegetable = ingredientFactory.getVegetable();
meat = ingredientFactory.getMeat();
sauce = ingredientFactory.getSauce();
bread = ingredientFactory.getBread();
}
}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gredientFactory ingredientFactory = new KoreaBigMacIngredientFactory();
new BigMacBurger(ingredientFactory);
}
}
위처럼 BigMacBurger 에서는 구현코드가 빠지게 되면서 느슨한 구조를 이루게 됩니다.
추상 팩토리 패턴을 이용한다면 팩토리 패턴과 같이 구현 코드에서 생성 코드가 빠지게 되면서 DIP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의존성 뒤집기 원칙을 지킬 수 있게 됩니다.
팩토리 패턴 vs 추상 팩토리패턴
공통점:
- 둘다 구현코드에서 생성 부분을 떼어내 구현코드의 구조를 느슨하게 만들어준다.
다른점:
- 팩토리 패턴은 값을 받아 어떤 값에 해당 값을 내려줄때 사용한다.
- 추상 팩토리 패턴은 여러개의 구성을 추상화하여 하나의 객체를 만드는데 사용합니다.
- 따라서 구성의 변경이 많은 경우 비추천합니다.
참조
헤드퍼스트 디자인 패턴
Leave a comment